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대뉴스 - 학생

화학공학과 신우정, 송우철 박사, KAIST 및 POSTECH 조교수 임용 2023.03.24
  • 홍보팀
  • 조회수 : 8837
게시글 내용

화학공학과 신우정, 송우철 박사, KAIST 및 POSTECH 조교수 임용


▲ 화학공학과 신우정 박사(왼쪽, KAIST)와 송우철 박사(오른쪽, POSTECH)


우리 대학 화학공학과 졸업생 신우정 박사(학부 10학번, 석사 14학번)와 송우철 박사(학부 07학번, 석사 14학번)가 각각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와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환경공학부에 2023년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신우정 박사는 우리 대학에서 2014년 학사를 취득하였고, 2015년 석사를 학, 석 연계과정(지도교수 엄숭호, 임용택)으로 취득하였다. 이후 2016년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교 오스틴(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의공학과(Biomedical Engineering)에 입학하여 “Development of microphysiological human intestine models for deciphering the role of host-gut microbiome crosstalk in intestinal diseases”를 주제로 2020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약 2년간 미국 하버드 의대 Wyss Institute에서는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보냈다.


신 박사는 총 29편의 SCIE논문을 발표하였으며 미국 NIH/NCI 장학생, 아산장학재단 장학생, 목암과학재단 장학생 등 국내외 여러 유수기관에서 장학생으로 선정 및 수상했다.


그는 엄숭호, 임용택 교수의 지도 하에 핵산나노공학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암 진단체 개발, 생체고분자를 기반으로 한 암 백신 개발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박사과정 및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통해서는 사람 몸속의 미생물과 이들의 군집체가 몸의 건강과 질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기 위한 장기모사칩 개발 및 미생물 기반의 치료제 개발 등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KAIST에서도 여러 공학기술을 기반으로 생물학적, 의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며, 장기모사칩 및 합성생물학 기술을 활용하여 사람-미생물 상호작용을 심도있게 연구할 계획이다.


송우철 박사 역시 엄숭호 교수 지도 하에 우리 대학에서 2014년 학사를, 2015년에 석사를 취득하였다. 이후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화학공학과에서 박사과정 수료 후, 텍사스 주립대학교 오스틴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화학공학과에서 “Bioinspired Membrane Design,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to Control Microstructure and Enable Efficient Molecular Separations”로 2021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교 화학과에서 약 2년간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보냈다.


송 박사는 에너지 및 환경 지속가능성 분리막 기술을 주 연구분야로 하여 총 25편의 SCIE 논문을 발표하였다. 미국 화학공학회, 미국 막학회, 미국 화학회등 저명한 해외 학술 기관으로부터 우수 박사과정 연구 수상 및 펠로우쉽을 수상하였으며, 2021년에는 목암과학재단 장학생으로 선정되었다.


송우철 박사는 박사과정 동안 친환경 해수담수화 및 나노여과 공정 개발을 위한 생체모사 분리막 및 기능성 고분자 분리막 소재를 개발하였다.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통해서는 나노다공성재료 (metal-organic frameworks, MOFs) 합성 및 이를 이용하여 에너지-환경 문제 해결에 앞장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대표적으로 MOFs를 이용하여 탄소 배출 제로를 달성하며 대기 중 수분으로부터 식수를 확보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송 박사는 다양한 유·무기 소재 합성 기술을 기반으로 우리 주변의 다양한 천연자원 또는 폐자원을 친환경적으로 분리/정제하여 사회·경제·윤리적 부가가치를 높이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전글 의과대학 제14대 학장단 의대 발전기금 기부 약정식 거행
다음글 화학과 이효영 교수 연구팀, 차세대 고수명 수전해 나노클러스터금속 전극 촉매 개발
  • 상기 콘텐츠 담당
  • 홍보팀 ( 02-760-1145 )